APS/BOJ
[APS][C++] BOJ S3 9461번 파도반 수열 (feat.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DP)
청월누리
2025. 3. 28. 19:09
https://www.acmicpc.net/problem/9461
문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이 나선 모양으로 놓여져 있다. 첫 삼각형은 정삼각형으로 변의 길이는 1이다. 그 다음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정삼각형을 계속 추가한다. 나선에서 가장 긴 변의 길이를 k라 했을 때, 그 변에 길이가 k인 정삼각형을 추가한다.
파도반 수열 P(N)은 나선에 있는 정삼각형의 변의 길이이다. P(1)부터 P(10)까지 첫 10개 숫자는 1, 1, 1, 2, 2, 3, 4, 5, 7, 9이다.
N이 주어졌을 때, P(N)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N이 주어진다. (1 ≤ N ≤ 100)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P(N)을 출력한다.
풀이
- 점화식을 이용한 DP(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문제
- 문제에서 주어진 첫 10개 숫자를 가지고 점화식 유추 가능
$ P(N) = P(N-3) + P(N-2) $ (단, $ N \ge 4 $)
- 점화식을 코드로 구현하면 풀이 가능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test;
cin >> test;
for (int t = 0; t < test; t++) {
int n;
cin >> n;
long long dp[101] = {0};
dp[1] = 1;
dp[2] = 1;
dp[3] = 1;
for (int i = 4; i <= n; i++) {
dp[i] = dp[i - 3] + dp[i - 2];
}
cout << dp[n] << "\n";
}
return 0;
}
결과
오답 원인
- 타입 주의 필요! ➡️ 문제에서 N의 범위가 1 ≤ N ≤ 100 이지만,
int
범위를 뛰어넘는 숫자가 나올 수 있다. 항상 디버깅할 때, 최대 숫자를 넣어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하자. vector
를 매 테스트 케이스마다 새로 생성하고 할당하면 메모리 초과가 발생할 수 있다. ➡️vector
를 한번만 선언하여 재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ex. 전역 선언 or 반복문 바깥에서 선언) 배열로 문제에서 주어진 최대 크기를 할당 후, 해당 메모리 내에서 초기화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