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Ubuntu] 가상 머신을 이용한 리눅스 배포판 설치 (feat. VirtualBox & Ubuntu 24.04 LTS)](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qt68I%2FbtsMTCxSPni%2FbFRVhOwrZx7kkACIwZZ590%2Fimg.png)
가상 머신 프로그램인 VirtualBox와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인 Ubuntu를 이용하여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한 글입니다. (Windows 11을 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 설치
호스트(host) 운영체제 위에서 게스트(guest)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환경을 가상 머신(VM)이라고 하며, CPU, 메모리, 디스크 공간 등을 할당받아 실제 컴퓨터처럼 동작한다.
VirtualBox 설치하기
먼저 가상 머신을 만들기 위해 가상 머신 프로그램인 VirtualBox를 설치해야 한다. VirtualBox 공식 홈페이지에서 VirtualBox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Downloads – Oracle VirtualBox
This VirtualBox Extension Pack Personal Use and Educational License governs your access to and use of the VirtualBox Extension Pack. It does not apply to the VirtualBox base package and/or its source code, which are licensed under version 3 of the GNU Gene
www.virtualbox.org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Windows hosts를 선택하여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 받는다.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VirtualBox를 실행한다. 설치 과정 중 어려운 부분은 없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미지로만 대체)
설치가 완료되었다.
가상 머신 생성하기
가상 머신을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였으니, 이제 가상 머신을 생성해야 한다.
방금 설치한 VirtualBox를 실행한다.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고, 가상 머신의 이름을 작성한다. 운영체제 이름이 포함되도록 가상머신의 이름을 정하면 하단에 종류, Subtype, 버전이 모두 자동으로 선택되지만, 만약 선택이 되지 않았다면 본인이 설치하고자 하는 운영체제에 맞춰서 설명한다. (ISO 이미지는 Ubuntu를 설치할 때 진행할 예정이다.)
가상 머신은 결국 하나의 하드웨어이기 떄문에, 가상 머신이 가용 가능한 하드웨어 용량을 지정해줘야 한다. 본인의 컴퓨터(Host) 성능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한다. (Ubuntu LTS 24.04.2 기준으로 CPU 듀얼코어 이상, 메모리(RAM)은 4GB 이상을 요구해서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추가로 EFI 활성화
를 체크한다.
EFI(Extensible Firmware Interface)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를 대체하는 새로운 펌웨어 인터페이스로,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간의 중간 역할을 수행하는 부트 로더(boot loader)이다. EFI의 발전된 형태로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가 있으며, 현재는 UEFI가 더 널리 사용됩니다.
하드디스크 용량 역시 본인의 컴퓨터 하드웨어 용량에 따라 적당히 선택한다. 본인이 설치하고자 하는 운영체제에서 요구하는크기 이상으로 설정하되, 용량을 너무 크게 설정하면 Windows에서 사용할 용량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한다. (필자는 Ubuntu LTS 24.04.2의 요구 사항인 25GB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상 머신 정보를 확인한 후, 완료 버튼을 누르면 가상 머신 생성이 완료된다.
가상 머신 생성이 완료되었다.
우분투(Ubuntu) 설치
우분투 ISO 다운로드
우분투를 설치하기 위한 ISO를 다운받아야 한다. 우분투 ISO는 우분투 공식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다. 아래 링크에서는 최신 LTS 버전 및 최신 버전을 다운 받을 수 있다. (2025.03.21. 기준으로 LTS는 24.04.2
버전이며, 가장 최신 버전은 24.10
버전이다.) 아래 홈페이지에서 ISO 파일을 다운 받는다.
Download Ubuntu Desktop | Ubuntu
Download Ubuntu Desktop | Ubuntu
Ubuntu is an open source software operating system that runs from the desktop, to the cloud, to all your internet connected things.
ubuntu.com
만약 설치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이전 버전이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카카오 미러 서버)에서 필요한 버전을 골라 다운받을 수 있다.
https://mirror.kakao.com/ubuntu-releases/
Ubuntu Releases
There are 2 types of Ubuntu releases: Interim and LTS. Each Ubuntu LTS is maintained for 10 years total: 5 years of standard support + 5 years of ESM. Interim releases are maintained for 9 months. For the Ubuntu release cycle please see: The Ubuntu lifecyc
mirror.kakao.com
우분투 설치
우분투 설치 파일(ISO)의 다운로드가 끝났다면, 아까 만든 가상 머신에 우분투를 설치할 차례이다. VirtualBox로 돌아와 설치 과정을 이어서 진행하자.
좌측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가상 머신을 선택한 후, 상단에 설정을 누른다.
설정 창이 뜨면, 저장소에서 컨트롤러: IDE 부분에서 비어 있음 부분을 선택 후, 아까 설치한 가상 디스크 이미지(ISO) 파일을 추가한다.
아래와 같이 ISO 파일이 추가된 것을 확인한 후, 확인을 눌러준다.
시작 버튼을 눌러 가상 머신을 실행한다.
만약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면,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 후 다시 가상 머신을 실행하면 이어서 진행할 수 있다.
컴퓨터를 다시 시작 한 후, 시작 버튼을 눌러 가상 머신을 시작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우분투 설치 화면이 뜬다. 맨 위에 Try or Install Ubuntu를 선택하고 Enter
를 눌러 설치를 진행한다.
초기 설정 화면이 뜨면 언어는 영어로 설정한다. 한글로 설정해도 문제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개발자라면 혹시 모를 오류가 있을 수도 있기에 영문으로 설치를 진행하였다.
접근성 설정은 가볍게 그냥 다음으로 넘어가주고
키보드는 한국어(Korean)에 101/104키로 변경하고 다음으로 진행한다. (이 부분을 한국어로 설정한다해서 한글이 입력되는 것은 아니고, 한글 입력은 설치 이후에 추가 설정이 필요하다.)
인터넷 설정은 wired connection으로, 업데이트는 Skip
하고 넘어간다.
Install Ubuntu
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Interactive installation
선택 후 다음으로, 그리고 Default selection
을 선택 후 다음으로 진행한다.
추가 프로그램은 언제든 Ubuntu 설치 이후에 설치할 수 있으니 아무것도 체크하지 않고 넘어간다.
디스크를 지우고 우분투를 설치하는 Erase disk and install Ubuntu
를 선택한 후 다음으로 진행한다.
로그인 계정을 입력하고 다음으로 진행한다. (영문으로 입력해야 나중에 생길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윈도우 로컬 계정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지역은 서울로 선택하고 (만약 다른 국가에 있으면 국가에 맞게 변경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선택 사항을 확인하고 Install
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진행된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Restart now 버튼을 눌러 다시 시작한다. 호스트 컴퓨터가 다시 시작되는 것은 아니고, 가상 머신에서 우분투가 꺼졌다가 다시 시작되는 것이다.
Enter
를 눌러달라는 화면이 뜨면 Enter
를 눌러주고 조금 기다리면 아래와 같이 로그인 화면이 뜬다.
로그인 후,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 설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제 자유롭게 사용하면 된다.
이렇게 Virtual Box를 이용한 가상 머신 생성과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인 Ubuntu 24.04 설치를 완료하였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패키지 관리 시스템 (Linux Package Management System) (feat. Ubuntu) (0) | 2025.03.26 |
---|---|
[Linux] Linux Shell과 Linux 파일 시스템 (0) | 2025.03.23 |
[Linux][Ubuntu] Ubuntu에 Chrome 설치 (feat. Ubuntu 24.04 LTS) (0) | 2025.03.23 |
[Linux][Ubuntu] Ubuntu 24.04 LTS 한글 입력기 설치 (feat. IBus-Hangul) (0) | 2025.03.23 |
[Linux] 리눅스와 리눅스 배포판 (0) | 2025.03.21 |
since 2025.01.27. ~ 개발자를 향해....🔥